Nest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인증)의 접근 방법은 그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에 따라 달라진다.

Passport는 많은 production 단계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성공적으로 사용이 되고있고 커뮤니티에 의해 잘 알려진 node.js Authentication 라이브러리 이다.

Nest.js에서는 @nestjs/passport라는 모듈을 사용하여 쉽게 passport를 통합하여 사용할수 있습니다.

Passport는 아래의 단계를 통해 실행됩니다

  • 유저의 “credentials”(username/password, JSON Web Token(JWT), Identity Provider로부터 제공되는 identity token)을 확인함으로서 인증을 진행합니다.

  • 인증 상태를 관리합니다. (JWT같은 휴대할수 있는 토큰을 발행하거나, Express Session을 만드는 방식으로 관리합니다.)

  • 인증된 유저의 정보를 Route handler에서 사용되는 Request object에 붙혀 사용합니다.

username/password

username/password로 사용자가 인증을 하게되면, 서버는 연속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인증을 위해 authorization header으로 bearer token으로서 JWT를 발행합니다.

이렇게 발급된 유효한 JWT를 포함한 요청만 접근 가능하도록 하게하는 route를 만들어야합니다.

username/password로 인증하는 방식에 알맞은 passport-local패키지를 설치해야합니다.

$ npm install --save @nestjs/passport passport passport-local
$ npm install --save-dev @types/passport-local

어떤 Passport를 사용하더라도, @nestjs/passportpassport 패키지는 무조건 필요합니다. 이 두가지의 패키지를 설치한 후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에 맞는 passport를 설치해주세요 (위의 예같은경우는 passport-local 입니다.) 또한 passport에 맞는 type definition을 담고 있는 @types/~~ 패키지도 설치해주셔야 합니다.

Passport 구현 전략

이렇게 해서 우리의 authentication feature를 구현할 준비를 마쳤고, 본격적으로 이 Passport를 구현하기 시작하기 전 전반적인 개요에 대해서 살펴 보겠습니다.

Passport를 mini framework라고 생각을 하면 편하다.

이러한 프레임워크가 authentication 과정을 우리가 커스터마이징한대로 몇가지 단계로 나누어 추상화를 해줍니다.

보통 이러한 프레임워크 구현은 JSON Object를 Parameter로써 받던지, Passport가 적절한 시간에 호출하는 Callback function으로 할수 있습니다.

그런다음 @nestjs/passport 모듈이 이 프레임워크를 Nest 스타일로 wrapping 해주고, Nest Application에 쉽게 통합되도록 해줍니다.

우리는 @nestjs/passport를 사용하기 이전 Vanila버전의 passport가 동작하는 방식에 대해 먼저 고려해보겠습니다.

외국에서는 Vanila라는게 “날것의”라는 뜻 아니면 “특징이 없는”으로 쓰인다고 합니다. Vanila JS도 저희가 순수 자바스크립트를 나타낼때 사용하잖아요? 그것처럼 원래 Passport는 어떻게 동작하는지 부터 살펴보기위한 절차입니다.

Vanila Passport

Vanila Passport에서는 2가지로 Passport 전략을 설정합니다.

  1. 해당 전략에 관련된 옵션을 정해줍니다. 예를들어, JWT 전략에서는 token을 발행하기위해서 사용하는 비밀키를 제공해야합니다. 이 비밀키를 가지고 토큰을 발행하며, 비밀키가 조금이라도 달라진다면 같은 유저정보가 들어와도 다른 토큰이 발행됩니다.

  2. “검증하는 콜백함수(verify callback)”는 user 계정을 관리하는곳과 어떻게 상호작용할지에 대해서 Passport에게 알려줍니다. 또 유저가 존재하는지, 새로운 계정을 생성할수 있는지, 해당 유저의 “credentials”이 유효한지에 대해서 체크합니다. 만약 validation이 성공한다면 user의 정보를 반환하고, validation이 실패한다면 null을 반환합니다 (여기서 validation의 실패라는것은 유저 정보를 찾을수 없거나, passport-local에서는 비밀번호가 맞지않는것을 의미합니다.)

@nestjs/passport를 사용하면, PassportStrategy라는 클래스를 상속받아 Passport strategy를 설정할수 있습니다.

선택사항인 options objectsubclass(PassportStrategy클래스를 상속 받는 클래스)super()메소드의 매개변수로 사용하여 설정할수 있습니다. (위의 1번 참고)

또한, subclassvalidate함수를 구현함으로서 verify callback을 제공할수 있습니다. (위의 2번 참고)

We’ll start by generating an AuthModule and in it, an AuthService:

AuthModule과 AuthService를 generate하겠습니다.

$ nest g module auth
$ nest g service auth

AuthService를 구현함으로서, UserService안의 유저에 관한 함수들을 encapsulate하는데 유용하다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그럼 User의 모듈과 서비스를 generate해봅시다.

$ nest g module users
$ nest g service users

아래의 코드로 generated된 파일들의 내용을 대체하시고, 현재 진행하고있는 튜토리얼에서는 hard coding된 in-memroy 방식의 유저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또한 username으로 유저를 찾는 find 메소드를 정의하였습니다. 실제 앱에서 find 함수는, TypeORM, Sequelize, Mongoose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모델과 persistence 계층을 사용하는 곳에 정의된 함수입니다.

// users/users.service.ts

import { Injectable } from '@nestjs/common';

// This should be a real class/interface representing a user entity
export type User = any;

@Injectable()
export class UsersService {
  private readonly users = [
    {
      userId: 1,
      username: 'john',
      password: 'changeme',
    },
    {
      userId: 2,
      username: 'maria',
      password: 'guess',
    },
  ];

  async findOne(username: string): Promise<User | undefined> {
    return this.users.find(user => user.username === username);
  }
}